나른한 오후
close
프로필 배경
프로필 로고

나른한 오후

  • 분류 전체보기
    • 끄적끄적
  • 홈
  • 끄적끄적
왜 우주는 검정색일까요?

왜 우주는 검정색일까요?

밤하늘을 보며 왜 우주가 검정색일까요? 하늘에는 별들이 반짝이고 있지만, 사이의 공간은 깜깜한 검정색으로 가득 차 있어요. 그런데 사실 우주에는 수많은 별들이 있고, 빛이 전부 모이면 밝아야 할 것 같은데 왜 그럴까요? 별이 많은데 왜 어두울까요?먼저 생각해 볼게요. 만약 우주에 정말 무수히 많은 별이 있다면, 어디를 봐도 별빛이 있어야 해서 하늘 전체가 환하게 빛나야 할 것 같지 않나요? 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아요. 첫 번째 이유는 우주가 끝이 없고, 계속 팽창하고 있다는 사실이에요. 우주는 약 138억 년 전 빅뱅이라는 대폭발로 시작되었고, 지금도 계속해서 커지고 있어요. 우주의 팽창 때문에 멀리 있는 별들의 빛이 우리에게 도달하기까지 시간이 아주 오래 걸리죠. 어떤 별들은 너무 멀어서 그 빛이 ..

  • format_list_bulleted 끄적끄적
  • · 2024. 11. 26.
  • textsms
종이를 접으면 자국이 생기는 이유

종이를 접으면 자국이 생기는 이유

종이를 접어본 적이 있나요? 종이를 한 번 접으면 그 자리에 선명한 자국이 남아요. 그런데 왜 종이를 접으면 이런 자국이 생길까요? 이것은 종이의 성질과 구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이에요. 먼저, 종이는 여러 겹의 아주 작은 섬유들로 이루어져 있어요. 섬유들은 나무에서 추출된 섬유질을 얇게 편 다음 압축하여 만든 것이에요. 종이를 만들 때 섬유들은 서로 강하게 얽히고 압축되어서 우리가 사용하는 얇고 평평한 종이가 됩니다. 종이를 접을 때, 종이 속에 있는 섬유들은 강하게 눌리거나 당겨지게 돼요. 접히는 부분에서는 한쪽 섬유가 눌리고 다른 쪽 섬유가 늘어나게 되죠. 이런 과정에서 섬유들이 더 이상 원래의 형태로 돌아갈 수 없게 되면서 자국이 남게 되는 거예요. 이렇게 한 번 접힌 종이는 그 자리에 압력이 가..

  • format_list_bulleted 끄적끄적
  • · 2024. 11. 19.
  • textsms
과일보다 당도가 높은 마늘

과일보다 당도가 높은 마늘

여러분은 아마 마늘을 떠올릴 때 단맛보다는 그 특유의 강한 향과 매운맛을 먼저 생각할 거예요. 마늘은 한식에서 빠질 수 없는 재료로, 음식에 풍미를 더해주고 건강에도 아주 좋은 식품이죠. 하지만 흥미로운 사실은, 마늘이 당도 면에서 생각보다 엄청나게 높다는 점이에요. 과일처럼 단맛이 나진 않지만, 실제로 마늘 속에 있는 당의 양을 따져보면 일부 과일보다도 높을 수 있어요! 당도를 측정할 때 우리는 '브릭스(Brix)'라는 단위를 사용해요. 브릭스는 과일이나 채소에 얼마나 많은 당이 들어 있는지를 측정하는 단위로, 숫자가 높을수록 당도가 높은 거예요. 사과의 평균 브릭스는 10에서 12 정도이고, 수박은 9에서 10 정도이지만 놀랍게도 마늘은 약 30브릭스입니다!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달콤한 과일보다 훨씬..

  • format_list_bulleted 끄적끄적
  • · 2024. 11. 12.
  • textsms
코끼리보다 큰 포유류가 생길 수 있을까?

코끼리보다 큰 포유류가 생길 수 있을까?

이론적으로는 코끼리보다 큰 포유류가 생길 수 있지만, 제한 조건이 있습니다. 동물의 크기가 커질수록 체중을 지탱할 수 있는 뼈와 근육이 강해야 하며, 효율적인 혈액 순환과 체온 조절을 위한 특별한 생리적 구조가 필요합니다. 이런 조건들을 맞추기 위해선 상당한 진화적 변화가 필요하고, 모든 생물이 그런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큰 포유류가 생기기 어려운 이유뼈와 근육: 동물이 더 커질수록 뼈와 근육이 지탱해야 할 무게가 증가합니다. 뼈가 더 두껍고 강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너무 두꺼운 뼈와 근육은 움직임을 제한하고, 에너지 소비를 늘리기 때문에 생존에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체온 조절: 코끼리 같은 대형 포유류는 이미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많은 에너지를 사용합니다. 더 큰..

  • format_list_bulleted 끄적끄적
  • · 2024. 11. 5.
  • textsms
눈이 두 개(한쌍)인 이유

눈이 두 개(한쌍)인 이유

인간을 포함한 대부분의 생물은 눈이 두 개, 즉 한 쌍을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 주변의 다양한 동물들을 떠올려보면, 대부분이 두 개의 눈으로 세상을 바라보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죠. 하지만 가만히 생각해 보면 "왜 눈이 꼭 두 개일까?"라는 의문이 들 수 있습니다. 한 개의 눈으로도 볼 수 있는데, 왜 굳이 두 개의 눈을 진화 과정에서 선택했을까요? 두 눈의 가장 중요한 장점은 깊이 감각, 즉 입체감이에요. 우리가 두 눈으로 사물을 볼 때, 각각의 눈은 조금 다른 각도에서 그 사물을 바라보게 됩니다. 이로 인해 양쪽 눈의 시차(양안시차)가 발생하는데, 두 눈에서 들어오는 약간의 차이를 뇌에서 처리해 사물이 얼마나 멀리 있는지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사냥을 하거나 위험을 피해야 할 때, 거리를 ..

  • format_list_bulleted 끄적끄적
  • · 2024. 10. 29.
  • textsms
동물들이 겨울철에 살아남는 전략

동물들이 겨울철에 살아남는 전략

사람은 따뜻하고 포근한 안식처에서 겨울을 보냅니다. 대부분 실내에서 생활하고 활동하기 때문에 겨울은 불편할 뿐, 생명에 큰 위협을 주는 경우는 드뭅니다. 그렇다면 야생에서 살아가는 동물들은 추운 겨울을 어떻게 버틸까요? 동물들은 겨울에 맞서기 위해 각자 독특한 생존 전략을 가지고 있습니다. 겨울잠 (동면)겨울잠, 또는 동면은 많은 동물들이 추운 겨울을 보내는 중요한 생존 전략입니다. 동면을 하는 동물들은 겨울 동안 먹이를 구하기 어렵기 때문에 몸의 활동을 거의 멈추고 깊은 잠에 빠집니다. 이때 심장 박동과 호흡도 느려지면서 체온이 낮아져 에너지를 아낄 수 있습니다. 동면을 하는 대표적인 동물로는 곰, 다람쥐, 박쥐가 있습니다. 곰은 동면 기간 동안 거의 먹지 않고 자면서 몸에 저장해 둔 지방을 사용해 에..

  • format_list_bulleted 끄적끄적
  • · 2024. 10. 22.
  • textsms
포유류의 진화, 비행능력을 가질 수 있을까?

포유류의 진화, 비행능력을 가질 수 있을까?

포유류가 박쥐 외에 진화적으로 비행 능력을 갖추는 것은 이론적으로 가능하지만, 과정에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며 많은 진화적 장벽이 존재합니다. 현재 박쥐가 유일하게 비행할 수 있는 포유류인데, 이유는 비행에 필요한 독특한 신체 구조와 생리적 특성을 갖추고 있기 때문입니다. 비행을 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중요한 신체적 특성이 필요합니다. 날개 역할을 하는 팔다리, 가벼운 체중, 강한 근육, 효율적인 에너지 소비가 필수적입니다. 박쥐는 앞다리의 뼈가 길게 변형되어 날개로 발전했고, 피부막이 이 뼈를 덮어 날개 역할을 합니다. 또한 박쥐는 높은 대사율을 유지하기 위해 특별한 호흡 구조와 심혈관 구조를 발달시켰습니다. 다른 포유류가 진화적으로 비행을 할 수 있을 가능성은 이론적으로는 가능 하지만, 현실적으로는 ..

  • format_list_bulleted 끄적끄적
  • · 2024. 10. 15.
  • textsms
  • navigate_before
  • 1
  • 2
  • 3
  • 4
  • 5
  • ···
  • 28
  • navigate_next
최근 글
인기 글
태그
  • #빛
  • #AI
  • #디지털
  • #VR
  • #변화
  • #차이
  • #암호화폐
  • #에너지
  • #동물
  • #인공지능
Copyright © 쭈미로운 생활 All rights reserved.
Designed by JJuum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