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른한 오후
close
프로필 배경
프로필 로고

나른한 오후

  • 분류 전체보기
    • 끄적끄적
  • 홈
  • 끄적끄적
냉동인간 미래에 깨어날 수 있을까?

냉동인간 미래에 깨어날 수 있을까?

‘냉동인간(Cryonics)’은 의학적으로 더는 치료할 수 없는 상태(사망 선고 이후)에 있는 사람을 극저온 상태로 보존해, 미래의 과학기술로 다시 살릴 수 있기를 기대하는 시도입니다. 영화나 드라마에서 종종 등장하는 소재지만, 현실 세계에서도 이미 수백 명이 냉동 보존 상태에 놓여 있습니다.사람의 몸을 액체질소 수준인 약 -196℃로 급속히 냉각시켜 세포 손상을 최소화하고 현재의 과학으로는 치료 불가능한 질병이나 손상을 미래 기술에 맡기려는 개념이죠. 과학적으로 가능한 이야기일까?현재 기술로는 냉동된 인간을 다시 깨어나게 하는 건 불가능합니다.세포 손상: 물이 얼면 부피가 늘어나 세포막을 파괴합니다. 이를 막기 위해 '냉동보호제'를 사용하지만, 아직 모든 세포와 장기를 완벽하게 보존할 기술은 없습니다...

  • format_list_bulleted 끄적끄적
  • · 2025. 4. 23.
  • textsms
달이 지구에 떨어진다면 어떤 일이 생길까?

달이 지구에 떨어진다면 어떤 일이 생길까?

지구의 밤하늘을 밝히며 조용히 공전하는 달. 하지만 만약 달이 지구로 떨어진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이는 단순한 공상과학 영화의 소재가 아니라, 실제로 물리학적으로 분석해볼 수 있는 흥미로운 가설이다. 이번 글에서는 달이 지구에 충돌하는 과정과 그로 인해 발생할 결과를 알아보자. 1. 달이 지구로 떨어지는 과정현재 달은 지구를 평균 384,400km 거리에서 공전하고 있다. 하지만 달이 갑자기 공전 속도를 잃고 지구로 향한다고 가정해보자. 이 경우, 달은 지구의 중력에 이끌려 가속되며 점점 빠르게 떨어지게 된다.낙하 시간: 달이 현재 속도를 잃고 자유낙하한다면, 대략 몇 주에서 몇 달 안에 지구에 충돌할 것으로 예상된다.속도 증가: 달이 지구에 가까워질수록 속도는 급격히 증가하며, 대기권에 진입할 때는..

  • format_list_bulleted 끄적끄적
  • · 2025. 3. 2.
  • textsms
뇌 가소성이란 무엇일까요?

뇌 가소성이란 무엇일까요?

뇌 가소성이란 뇌가 경험과 학습, 혹은 손상에 따라 변화하고 적응하는 능력입니다. 쉽게 말해, 뇌는 고정된 형태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환경과 필요에 따라 유연하게 변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뇌의 가소성 덕분에 우리는 새로운 것을 배우고, 기억하며, 변화하는 환경에 적응할 수 있습니다. 이 능력은 특히 어린 시절에 활발하게 나타나지만, 성인이 되어서도 계속 작동합니다. 작동 원리뇌는 수많은 신경세포로 구성되어 있으며, 해당 세포들은 정보를 주고받기 위해 서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새로운 것을 배우거나 경험할 때, 신경세포 간의 연결이 강해지거나 새롭게 형성됩니다. 악기 연주를 처음 배울 때는 손가락 움직임이 어색하지만, 연습을 통해 점차 자연스러워지는 것은 뇌가 새로운 연결을 형성한 ..

  • format_list_bulleted 끄적끄적
  • · 2024. 12. 11.
  • textsms
얼음이 미끄러운 이유

얼음이 미끄러운 이유

겨울이 되면 얼음 위를 걸을 때 미끄러져 넘어질까 걱정하는 경우가 많아요. 그렇다면 얼음은 왜 이렇게 미끄러울까요? 얼음이 미끄러운 이유는 얼음 표면에 생기는 아주 얇은 물층 때문이에요. 이 물층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더 얇지만, 얼음을 매우 미끄럽게 만들어 주죠.얼음의 표면은 압력이나 마찰에 의해 아주 얇은 물층이 만들어져요. 우리가 얼음 위를 걸을 때나 무게를 실을 때, 그 압력 때문에 얼음이 순간적으로 녹으면서 물이 생기게 돼요. 이 물이 마치 윤활유를 뿌린 것처럼 작용해서 얼음을 미끄럽게 만들어요. 그래서 걸을 때나 넘어지기 쉬운 것이죠. 이런 현상은 마찰에 의해서도 발생해요. 스케이트를 탈 때 스케이트 날이 얼음 표면을 지나가면서 마찰이 발생하고, 그 마찰 때문에 얼음 표면이 조금 녹아..

  • format_list_bulleted 끄적끄적
  • · 2024. 12. 4.
  • textsms
왜 우주는 검정색일까요?

왜 우주는 검정색일까요?

밤하늘을 보며 왜 우주가 검정색일까요? 하늘에는 별들이 반짝이고 있지만, 사이의 공간은 깜깜한 검정색으로 가득 차 있어요. 그런데 사실 우주에는 수많은 별들이 있고, 빛이 전부 모이면 밝아야 할 것 같은데 왜 그럴까요? 별이 많은데 왜 어두울까요?먼저 생각해 볼게요. 만약 우주에 정말 무수히 많은 별이 있다면, 어디를 봐도 별빛이 있어야 해서 하늘 전체가 환하게 빛나야 할 것 같지 않나요? 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아요. 첫 번째 이유는 우주가 끝이 없고, 계속 팽창하고 있다는 사실이에요. 우주는 약 138억 년 전 빅뱅이라는 대폭발로 시작되었고, 지금도 계속해서 커지고 있어요. 우주의 팽창 때문에 멀리 있는 별들의 빛이 우리에게 도달하기까지 시간이 아주 오래 걸리죠. 어떤 별들은 너무 멀어서 그 빛이 ..

  • format_list_bulleted 끄적끄적
  • · 2024. 11. 26.
  • textsms
종이를 접으면 자국이 생기는 이유

종이를 접으면 자국이 생기는 이유

종이를 접어본 적이 있나요? 종이를 한 번 접으면 그 자리에 선명한 자국이 남아요. 그런데 왜 종이를 접으면 이런 자국이 생길까요? 이것은 종이의 성질과 구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이에요. 먼저, 종이는 여러 겹의 아주 작은 섬유들로 이루어져 있어요. 섬유들은 나무에서 추출된 섬유질을 얇게 편 다음 압축하여 만든 것이에요. 종이를 만들 때 섬유들은 서로 강하게 얽히고 압축되어서 우리가 사용하는 얇고 평평한 종이가 됩니다. 종이를 접을 때, 종이 속에 있는 섬유들은 강하게 눌리거나 당겨지게 돼요. 접히는 부분에서는 한쪽 섬유가 눌리고 다른 쪽 섬유가 늘어나게 되죠. 이런 과정에서 섬유들이 더 이상 원래의 형태로 돌아갈 수 없게 되면서 자국이 남게 되는 거예요. 이렇게 한 번 접힌 종이는 그 자리에 압력이 가..

  • format_list_bulleted 끄적끄적
  • · 2024. 11. 19.
  • textsms
과일보다 당도가 높은 마늘

과일보다 당도가 높은 마늘

여러분은 아마 마늘을 떠올릴 때 단맛보다는 그 특유의 강한 향과 매운맛을 먼저 생각할 거예요. 마늘은 한식에서 빠질 수 없는 재료로, 음식에 풍미를 더해주고 건강에도 아주 좋은 식품이죠. 하지만 흥미로운 사실은, 마늘이 당도 면에서 생각보다 엄청나게 높다는 점이에요. 과일처럼 단맛이 나진 않지만, 실제로 마늘 속에 있는 당의 양을 따져보면 일부 과일보다도 높을 수 있어요! 당도를 측정할 때 우리는 '브릭스(Brix)'라는 단위를 사용해요. 브릭스는 과일이나 채소에 얼마나 많은 당이 들어 있는지를 측정하는 단위로, 숫자가 높을수록 당도가 높은 거예요. 사과의 평균 브릭스는 10에서 12 정도이고, 수박은 9에서 10 정도이지만 놀랍게도 마늘은 약 30브릭스입니다!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달콤한 과일보다 훨씬..

  • format_list_bulleted 끄적끄적
  • · 2024. 11. 12.
  • textsms
  • navigate_before
  • 1
  • 2
  • 3
  • 4
  • ···
  • 28
  • navigate_next
최근 글
인기 글
태그
  • #디지털
  • #인공지능
  • #장점
  • #에너지
  • #AI
  • #기술
  • #VR
  • #변화
  • #암호화폐
  • #차이
Copyright © 쭈미로운 생활 All rights reserved.
Designed by JJuum

티스토리툴바